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로그인
로그인 유지
ID/PW찾기
인증메일재발송
제품 소개
아두이노
WAT-AK133
WAT-SK114
아두이노 UNO
아두이노 자료실
AVR
AVR 모듈
AVR-ISP USB 용
AVR 모듈 추가
AVR 자료실
정전류 모듈
정전류 모듈(12V 이하)
정전류 모듈(40V 이하)
실험 모듈
스텝모터 모듈
키 매트릭스
캐릭터 LCD
실험 모듈 자료실
자료실
제품 자료실
전자/회로/MCU
OrCAD
하드웨어 일반
STM32 자료
저항 읽기
프로그래밍
C/C++/MFC
C# .NET
프로세싱
시리얼통신
테트리스
웹 프로그래밍
안드로이드
UTF8 변환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일반
유틸리티
파일 자료실
고객센터
공지사항
개발 의뢰(HW,SW)
문의 하기
1:1 문의
개발 의뢰
쇼핑몰
>
고객센터
>
문의 하기
고객센터
공지사항
개발 의뢰(HW,SW)
문의 하기
1:1 문의
개발 의뢰
문의(질문)하기
문의하기
묻고 답하기
>
고객센터
>
문의 하기
WhiteAT
2008.01.09 12:56
앗.
OperatingOneSecond 대신
다른 함수를 예로 들었어야 했는데... 괜한 것을 올렸네요 ;;
그런데요. 제가 궁금한게 있는데요..저같은 경우에는 OperatingADC(); 하면 ADC 를 해가지고 오는데, 약간의 딜레이가 있습니다.
여기서 딜레이라는게 2000mS를 말하는 건가요?
저럴 경우에는 2000mS를 status를 사용하면 됩니다.
void OperatingADC1(){ // ch = 1 일경우에만 생각해보면
struct _FUNC_INFO structThisState;
structThisState= stateOperLED;
if(structThisState.uiTimer0) return; //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아서 리턴되는건 아시죠?
structThisState.uiTimer0=1000; // 이거는 디폴트 값입니다.
switch(structThisState.uiState){
case 0: // 처음
setup_adc_device_A_ch1();
structThisState.uiState=1; // 다음엔 state가 1일 경우로 가라.
structThisState.uiTimer0=2000; // 2000mS 이후에 들어 와라. 그 동안에는 다른 일을 해라.
break;
case 1: // B positive
write_adc_byte_A(0x38);
structThisState.uiState=0; // 다음엔 state가 0일 경우로 가라.
structThisState.uiTimer0=2000; // 2000mS 이후에 들어 와라.
그 동안에는 다른 일을 해라.
break;
default: // 혹시라도 잘못되면....
structThisState.uiTimer0=1;
structThisState.uiState=0;
break;
}
stateOperLED = structThisState;
}
▼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
업로드 중... (
0%
)
0
개 첨부 됨 (
/
)
글쓴이
비밀번호
돌아가기
그런데요. 제가 궁금한게 있는데요..저같은 경우에는 OperatingADC(); 하면 ADC 를 해가지고 오는데, 약간의 딜레이가 있습니다.
저럴 경우에는 2000mS를 status를 사용하면 됩니다.
void OperatingADC1(){ // ch = 1 일경우에만 생각해보면
struct _FUNC_INFO structThisState;
structThisState= stateOperLED;
if(structThisState.uiTimer0) return; //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아서 리턴되는건 아시죠?
structThisState.uiTimer0=1000; // 이거는 디폴트 값입니다.
switch(structThisState.uiState){
case 0: // 처음
setup_adc_device_A_ch1();
structThisState.uiState=1; // 다음엔 state가 1일 경우로 가라.
break;
case 1: // B positive
write_adc_byte_A(0x38);
structThisState.uiState=0; // 다음엔 state가 0일 경우로 가라.
break;
default: // 혹시라도 잘못되면....
structThisState.uiTimer0=1;
structThisState.uiState=0;
break;
}
stateOperLED = structThisSt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