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기(MFC)에서 버튼을 만들고,크기를 조정하고 하는것들이
저절로 프로그래밍되는건가여?
네
, 크기를 조정하면
, 알아서 크기와 좌표를 계산하여 인식하여
.rc 라는 확장자로 저장됩니다.
그 파일을 에디터로 열어 보세요.
(메모장 같은 텍스트 보는 프로그램으로..)
Visual 이 아닐때에는 사람이 일일이 손으로 다 코딩을 해 줬어야 합니다
. (세로 길이
, 가로 길이
, 위치
, 폼 형태
, 보이게
?안보이게
? 버튼 종류
.. 등등 여러가지
다..... )
하지만 MFC(현재 사용하고 있는거)가 나온후로 그냥 화면에 보이게만 해주면 자동으로 코드를 생성해 줍니다.
그것이 보통 일이 아니었거던요... ~~~
2. 타이틀을 변경할때나 버튼을 만들때 보면 ,ID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어디에 쓰이는 건가여.?
각각의 이름이라고 보면 됩니다. 사람에게 주민등록번호가 있는 것처럼
각각의 컨트롤에는 ID 라는 게 있습니다.
버튼을 누르거나, 버튼위치를 바꿀때,
그 ID로 버튼의 정보를 얻고 변경할수 있습니다.
3. GetDC()는 무슨뜻인지..?
Get Device Context 의 약자입니다.
즉 디바이스에 관련된 정보는 얻는 함수 입니다.
(예를들어, 화면에 출력을 할때 모니터의 해상도나 윈도우글자의 기본폰트같은 정보를 얻을수 있습니다.)
4. RGB(255,255,255) 가 무엇인가요?
Red Green Black 이고 괄호 안의 숫자는 각각의 짙은정도를 나타냅니다.
RGB(255,0,0) 은 빨간색
RGB(0,255,0)은 녹색
RGB(0,0,255)은 흰색
RGB(0,0,0) 은 검은색을 나타냅니다.
5. main()함수가 없는데 MFC에서는 메인함수 안쓰나요?
(main()함수로 시작해서 여러함수가 사용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일반 도스에서는 main() 함수를 사용지만 윈도우 프로그램에서는 WinMain() 함수를 사용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MFC는 프로그램을 짜기 쉽게 도와주는 툴입니다. MFC는 WinMain()함수를 숨겨놓고(?)
프로그래머가 그외의 함수에만 신경을 쓸수 있게 도와주는 겁니다.
WinMain 함수 위치는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VC98\INCLUDE\WINBASE.H(1075):
입니다. 1075번째 줄, 함수 내부는 볼수 없습니다.
라이브러리라는 것으로 보관하기 때문입니다.
6. void CTetris3Dlg::MyDrawCount()에서 ::는 무얼뜻하는지 모르겠어여...
MyDrawCount();라구만 했는데 실행이 되는 거 보면 그 앞부분은 ......
CTetris3Dlg을 클래스라라고 합니다.
WorkSpace 에서 ClassView 탭을 보면 몇가지가 있는데 그것이 클래스 입니다.
그리고 MyDrawCount() 함수는 CTetris3Dlg라는 클래스 안의
멤버 함수 입니다. (즉, CTetris3Dlg안에 속해 있는 것이지요.)
MyDrawCount() 함수를 CTetris3Dlg 라는 클래스에서는 MyDrawCount() 해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다른 클래스에서는 CTetris3Dlg::MyDrawCount() 이런식으로 클래스와 같이 쓰여야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7. UNIT는 무슨뜻이에여...?
UNIT 가 아니고, UINT 입니다. ^^
type 아시죠?
int
char
double 등이 있는데
UINT 는 unsigned int 라는 것으로 선언하여 사용합니다.
(하나의 약속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int 는 -32762 ~ +32762 (대충 ㅡㅡ;) 까지입니다.
UINT 즉 unsigned int 는 0 ~ 65525 까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