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CISC, RISC
2007.09.04 09:41
마이크로프로세스의 명령어 처리 방식에 따라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와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가 있다. 이 두 가지 방식은 명령어 수를 줄여서 여러번 처리를 하느냐 많은 명령어로 한번에 다 처리하냐에 따라 구분한다.
흔이 우리가 사용하는 개인용PC나 노트북의 경우 CISC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CISC 방식은 연산에 처리되는 복잡한 명령어들이 많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점점 명령어 수가 증가하는데, 명령어 수가 증가할수록 CISC방식은 구조가 점점 복잡해 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RISC 방식이다.
CISC 방식의 경우 사용되는 모든 명령어들을 내장하고 있지만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는 15% 이하에 불과하다. 반면 RISC 방식은 사용빈도가 높은 명령어만 내장된 구조이다. 즉, RISC방식은 필요한 명령어만들 가지고 있으며 그 명령어를 조합해서 많은 수의 명령어를 수행할수 있는 것이다.
초기에는 단순히 RISC가 CISC를 간소화시킨 정도로 생각했지만 RISC방식으로 CISC방식에서 처리할 수 있는 모든 기능들을 처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RISC 방식이 점차 주목받게 되었다. 더구나 RISC 방식은 명령어 수를 줄이는 대신 CPU 내부 캐쉬, 수퍼스칼라, 파이프 라이닝, 비순차 명령 실행, 레지스터 개수 증가 등의 CPU 의 근본적인 기능을 향상시켜 CISC 에 비해 월등히 높은 처리 속도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CISC를 고집하던 인텔도 CISC CPU에 RISC 구조를 일부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꼭 RISC가 CISC 보다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다. CISC 는 수백개의 명령어를 내장하고 있어 이 명령어를 이용하면 프로그램을 짜기에는 훨씬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고, 하위호환성을 갖게 되어 다양한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반면 RISC 방식은 일부 명령어들만 포함함에 따라 구조는 효율적이게 되었지만 하위 호환성을 위해서는 보통 에뮬레이션 방식을 사용하게 되고 이런 작업에서는 CISC 에 비해서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즉 RISC 방식은 특정한 목적에 특화된 방식이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텔 CPU 에 비해 월등히 빠른 PowerPC 가 실패한 가장 큰 이유도 호환성면에서 x86 CPU 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효율성 문제 때문에 점차 RISC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는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용 컴퓨터와 같이 호환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PC 환경에서는 당분간 CISC 가 강세를 보이게 될 것이며 좀 더 전문적인 용도에서는 효율적이고 빠른 성능의 RISC 가 우위를 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날짜 | 조회 수 |
---|---|---|---|
47 | Microsoft Outlook 에서 일정관리에 관한 내용 | 2006.05.27 | 8411 |
46 | 윈도우 레지스트리 | 2006.05.29 | 7599 |
45 | DDK | 2006.05.29 | 5784 |
44 | 숨겨진 윈도우즈 XP 관리 프로그램들 | 2006.07.03 | 5949 |
43 | 네트워크 정보 갱신 | 2006.07.03 | 5677 |
42 | cypress USB Device Driver - 컴파일(개발) 방법 | 2006.10.11 | 7872 |
41 | [Microsoft Internet Explorer]에서 주소표시줄 없어졌을 때 | 2006.11.02 | 42402 |
40 | MYSQL 4.1 서버 설치 | 2006.11.07 | 2928 |
39 | Device Descriptor [2] | 2007.07.09 | 6777 |
38 | 리눅스에서 압축하기/압축풀기 | 2007.08.21 | 13077 |
» | CISC, RISC | 2007.09.04 | 6937 |
36 |
RISC-파이프라인
![]() | 2007.09.04 | 7734 |
35 | 리눅스 명령어 정리 | 2007.09.18 | 10427 |